데이터 분석을 위해선 전처리 과정에서 Python 인덱싱(indexing)과 슬라이싱(slicing)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사실 모든 언어에서 지원하는 개념이자 함수들이기 때문에 별도의 공부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햇갈릴 수 있는 부분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인덱싱 (indexing)url이라는 변수에 "http://kj-said.tistory.com" 값을 할당을 한다. >>> url = "http://kj-said.tistory.com" >>> url'http://kj-said.tistory.com' >>> type [0]부터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1]은 뒤에서 부터 시작된다. [0] = [-0]기 때문이다.>>> url[0]'h' >>> url[-0]'h' >>> url[-1]'m' 슬라..
Python에서 사용하는 나눗셈은 일반 언어와 동일하다. 다만, 몇 가지 실수로 놓치기 쉬운 부분들만 간략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나눗셈, 몫만 구하기, 나머지만 구하기와 함께, 음수의 나머지 몫을 구하는 과정에서 햇갈리기 쉬운 점과, 한 번에 몫과 나머지를 구해주는 divmod()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2018과 5의 나눗셈을 하는 과정에서,1) 평상적인 나눗셈 ( / )>>> 2018 / 5403.6 2) 몫만 구하기 ( // )>>> 2018 // 5403 cf) 양수의 나누기 vs. 음수의 나누기음수의 경우, 계산의 결과 -403.6의 몫은 -403이라고 잠시 착각할 수 있지만, 실제 결과를 확인해보고 개념을 보면 -404라는 점을 알 수 있다. >>> 2018 / 5403.6 >>>..
네트워킹 시리즈 1탄으로 시작된, 랜덤 점심먹기를 처음 시행하였다. 원래는 4인 1조이지만, 짝이 안 맞는 분들을 나누다 보니, 우리 팀은 6명이 되었다. 평소에 이야기를 많이 하던 사람들, 인사정도 하던 사람들, 인사조차 안(?)했던 사람들 골고루 한 팀이 되어서 좋았다. 너무 어색하지도, 너무 신비감이 없지도 않는 조합이랄까!? 학식을 먹기에는 날씨가 너무 좋아서, 나가서 먹기로 하였다. 시간이 부족해서 가까우면서도 한 번 가봤던 곳을 찾다 보니, 후쿠후쿠 돈부리가 선정되었다. 시간에 쫓겨 부랴부랴 가다보니, 너무나 좋은 이 날씨를 사진으로 남기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수업장소인 성균관대 다산 경제관에서 출발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이동하였다. 중간 중간 엘레베이터를 타면서 거리를 최소화 했다. 빨리..
수업 시간에 노트북 타자 소리가 너무 커서, 미뤄왔던 키스킨을 구매하게 되었다. 가지고 있는 노트북 모델은 NT900X5T-K58A이며, 키스킨은 Fineskin 폴리우레탄 실리콘 키스킨을 구매하였다. 제품 dependency가 있다보니, 선택의 폭이 넓진 않았다. freeyou라는 곳에서 구매를 하였고, 네이버를 통해 사다보니 중간중간 알림으로 현 상태를 알려주어서 좋았다. 금액은 14,000원 + 배송비 2,500원 이였으나, 남아있는 포인트가 조금 있어서 최종적을 15,520원을 지불하였다. 참고로 현재까지 이 키스킨은 삼성 NT900X5T-K58A 모델에만 지원된다. 주문과 결재는 5월 12일(토)였고, 5월 14일(월)에 배송시작, 5월 15일(화)에 물건을 받아보았다. 다행이도 빠른 배송으로 ..
HTML 파일을 직접 작성을 하다보면,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주로 툴에서는 자동으로 설정을 시켜놓을 수 있는데, 아직 환경 세팅을 하지 않고, 새로운 페이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당황을 할 수 있다. 대부분 인코딩이 잘 못 되어서 발생이다. 먼저, 현재의 characterSet을 확인해보자.브라우저 개발자 도구의 console을 통하여 document.characterSet를 확인하면 된다.아래 예시는 한글이 깨지지 않는 naver.com의 document.characterSet는 UTF-8임을 위의 방법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인코딩을 설정하는 법은 HTML을 작성 시, 실제 naver의 html에서 설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인코딩 방식과 종류를 상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잘 정리된..
HTML 이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 - 하이퍼링크로 구성된 구조화된 언어, 웹 사이트 컨텐츠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Markup Language(*)- 확장자는 .html 또는 .htm- 텍스트 파일(.html 또는 .htm)을 웹 브라우저 화면에 랜더링 해줌으로서, 사용자에게 표현되는 프로세스로 동작(*)- HTML5 표준 기술 스펙은 w3.org에서 확인 가능하다. ( https://www.w3.org/TR/html ) Markup Language(*) 란?-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종류- HTML을 놓고 보자면, 비주얼 디자인이 아닌 구조 설계를 위해 사용 (비주얼 디자인은 css, 인터렉션은 js를 통하여 각자의 역할에 맞게..
오늘은 팀과 함께 하는 일정이 많았다. 15시부터는 팀 월간회의를 18시부터는 팀 회식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팀 월간회의에는 각 파트별로 최근 업무와 앞으로 할 업무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대략 1시간 내로 정리가 되었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3일간 그룹으로 교육을 다녀오신 과장님의 후기 발표와 곧 있을 전시회 관련 사장님 보고자료를 리뷰하는 시간까지 함께 가지며 생각보다 길어졌다. 하지만, 분위기 만큼은 최근 들어 이렇게 화기애애한 적이 있었나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좋았다. 덕분에 회식까지 그 분위기를 이어 즐겁게 마무리되었다. (왜 좋았는지는 딱히 이유는 없다. 그 이유를 알았다면 앞으로도 계속 좋은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을 텐데) 회사가 긴축재정에 돌입하면서, 회식비가 반 토막이 난 상황이라 늘 모자..
회사 후배와 어제 점심 식사를 함께하며, 전날 갑자기 떠올랐던 좋은 아이디어를 공유하였다. 미니 프로젝트를 하기에 재미도 있고 난이도도 충분하다고 판단이 되어, 함께 진행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금전적으로도 이익이 있을 것 같은게 가장 큰 이유였다.) 진행 단계는 agile 방식으로 진행을 할 예정이며, 좋은 tool이나 service를 사용하기로 했다. 그동안 trello (trello.com), pivotal tracker (pivotaltracker.com), slack (slack.com) 등 좋은 service들을 이용해왔지만, 회사의 더 강력해진 보안정책과 함께 클라우드 향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 차단을 함으로써, 새로운 service site를 찾아야만 했다. 그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 quip..
본 글을 시작으로 Front-End 관련 내용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메인 내용은 Fast Campus의 '[입문] 프론트엔드 개발 시작하기 CAMP' 온라인 과정이며, 사실 잘 잊어먹는 나를 위해 작성한 것이 주된 이유이지만, 혹시나 본 과정에 대한 궁금증이나, 순수하게 검색을 통하여 오신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작성하였습니다. ** 글 내용은 주로 http://www.fastcampus.co.kr/dev_online_fep/ (패스트캠퍼스, [입문] 프론트엔드 개발 시작하기 CAMP 온라인 과정)에서 발췌하였으며, 본 글은 물론 앞으로 본 과정에 대한 내용 작성은, 광고 / 협찬과는 전혀 상관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과정 중에 좋은 점과 나쁜 점은 확실하게 구분하여 작성 할 것이며, 후기보단 제가..
마지막 글을 기준으로 약 1년 만에 다시 돌아왔습니다. 그 기간 크고 작은 그리고 좋고 나빴던 많은 경험과 변화들을 겪었습니다. 심리적 안정을 되찾으며 성숙함과 사람다움을 얻었고, 대학원에 진학하며 새로운 목표를 향해 열심히 달릴 기회도 얻었습니다. 반면 극히 사적이라 작성할 수 없는, 몇몇 난이도 높은 인생 공부도 병행하며 어려움도 겪었습니다. 블로그를 다시 찾은 이유는, 강원국 전 청와대 연설 비서관의 강연 중, 블로그 운영을 추천받았기 때문입니다.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공돌이 특징인 글을 '잘' 못 쓰는 사람들은 글을 자주 써보지 않았기 때문에 어렵고, 또 작성할 때 잘 써야 한다는 압박감에 금방 흥미를 잃고 돌아선다는 것이었습니다. 하루에 5줄이라도 본인의 블로그를 운영하며, 꾸준하게 작성을 하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HTML 한글이 깨져요
- 삼성 NT-900X5T-K58A 키스킨
- HTML
- document.characterSet
- python 나눗셈
- 나눗셈 몫
- python indexing slicing
- 파인스킨
- 후쿠후쿠 돈부리
- 성대 점심식사
- 실리콘 키스킨
- Markup Language
- NT-900X5T-K58A
-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과
- NT-900X5T-K58A 실리콘 스킨
- 성대 돈부리
- python divmod
- 성대 후쿠후쿠
- Fineskin
- meta charset
- 데이터사이언스융합과
- 나눗셈 나머지
- python 나눗셈 몫
- divmod
- 무늬개발
- 무늬개발 python
- Python
- sllicing
- Semantic Markup
- python 문자열 전처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